오늘은 전기설비의 역률보상용 콘덴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콘덴서의 고장원인
1) 사용 환경 : 콘덴서의 주위온도가 허용 온도보다 높은 경우
2) 설치불량 : 용량선정의 오류 및 전선 조임부의 불량, 병렬 설치 시 간격 부적정, 개폐기류의 부적합에 의한 고장
3) 이상전압 : 번개 또는 개폐기 동작시 발생하는 서지전압, 단락사고 또는 지락사고에 의한 고장
4) 조작불량 : 개폐 빈도가 과하게 많은 경우, 단시간 내에 과하게 개폐하는 경우
5) 자연열화 : 수명감소에 의한 마모 및 열화
2. 콘덴서 배부름 현상
콘덴서 불량을 확인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은 육안상 콘덴서가 부풀어 오르는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배부름 현상의 원인은 전해액을 사용하는 콘덴서에서 액체가 기화되거나 가스가 발생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주변온도, 과전압 등에 의한 발열에 의해 생기며 콘덴서 용량이 점점 감소하게 되고 시간이 더 지나면 동작이 멈추게 됩니다.
3. 콘덴서 정격 전류 계산
콘덴서의 정격 전류 계산 및 설치를 위해 알하야할 사항들입니다.
1) 정격전압 및 최고전압
-콘덴서가 설치될 곳의 정격전압 및 운전 중 발생하는 최고전압
2) 부하의 종류 및 용량
-콘덴서가 시설될 곳의 부하 종류와 유효 전력
3) 현재역률
-콘덴서가 설치되는 곳의 현재역률 값
4) 목표역률
-콘덴서를 적용해 만들려고 하는 역률 값
5) 주위온도
-콘덴서의 수명에 영향을 주므로 주위온도를 확인하여 콘덴서를 선정해야 합니다.